Industry-University-research

Industry-University-Research

 

프리온에 의한 신경 생리기능 및 두뇌 네트워크 변화



  • prion 병은 전염성 해면 상뇌증(광우병)으로 알려져 있고, prion으로 명명된 병원체에 의해 발병된다. 이는 임상적 증상을 보이기 이전에 프리온 감염여부에 대한 사전 진단이 매우 어렵고 현재까지 치료 방법이 없다. 보통 프리온은 폴리 펩타이드(PrP polypeptide)형태에서 응집된 (PrP aggregate)형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세포독성을 유발 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그 과정에 따른 세포 독성간의 상관관계를 현상적으로 제시하거나 매커니즘을 규명한 연구는 잘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 프리온 극복 및 예측을 위해서는 발병의 매커니즘 규명 연구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세포 신경학적으로 세포 사멸만을 관찰하는 한계에서 벗어나 실험의 층위에 따른 알맞은 전기생리학적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 기존 연구로 PrP응집체들이 뉴런의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채널 전극 측정(multielectrode array; MEA)으로 두뇌 해마조직 슬라이스에서 CA3->CA1으로의 신호전달 양상에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실에서는 PrP의 응집체 뿐만아니라 PrPSc응집체로 신경계의 기능적 이상에 대한 발병 매커니즘을 도출하고자 한다.


 

prion

 

그림1. 프리온 응집체의 형성 과정 및 독성

 

TOP
 
사이트맵 닫기